은퇴 후 재무관리/자산관리

버핏의 투자 원칙

Ageless spirit 2025. 5. 8. 11:43

 

1. 버핏의 투자 원칙: 세 가지 핵심

버핏은 투자의 기본으로 다음 세 가지를 강조합니다

  1. 자산의 미래 생산성에 집중하라: 가격 변동에 일희일비하지 말고, 자산이 장기적으로 얼마나 생산적인지를 평가하라는 것입니다.
  2. 가격이 아닌 수익에 주목하라: 매일의 가격 변동보다는 자산이 창출하는 수익에 집중해야 합니다.
  3. 거시경제 예측에 의존하지 말라: 시장 예측보다는 기업의 내재 가치에 기반한 투자를 중시해야 합니다.

이러한 원칙은 버핏의 부동산 투자 사례, 예를 들어 1986년 오마하 인근 농장과 1993년 뉴욕대 부근 상가 투자 등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됩니다. 


2. 투자 유형 분류: 나쁜 투자 vs. 좋은 투자

버핏은 투자 자산을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

  • 나쁜 투자: 머니마켓펀드, 채권, 은행예금 등 구매력 하락으로 인해 실질 수익이 낮은 자산
  • 이상한 투자: 금과 같이 생산성이 없는 자산
  • 좋은 투자: 주식, 농장 등 장기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자산

이러한 분류는 2011년 버크셔 해서웨이 주주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자세히 설명됩니다. 


3. 집중투자와 가치투자 전략

버핏은 자신이 잘 이해하고, 위험이 낮으며, 이익 잠재력이 큰 1위 종목에는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2023년 1분기 기준 버크셔 해서웨이의 포트폴리오에서 애플의 비중은 46.4%에 달했습니다. 이는 버핏의 집중투자 전략을 잘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또한, 버핏의 가치투자 스타일은 스승 벤저민 그레이엄의 '담배꽁초 투자'에서 찰리 멍거와의 만남을 통해 진화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씨즈캔디와 애플 투자가 있습니다. 


4. 버핏의 인생 철학과 조언

버핏은 투자뿐만 아니라 삶에 있어서도 다음과 같은 조언을 남겼습니다:

  • “가장 중요한 투자는 자신에게 하는 투자다” (2008년 주주총회)
  • “사랑받고 싶은 사람에게 사랑받으면 성공한 사람이다” (2003년 주주총회)
  • “자신보다 나은 친구를 사귀라” (2021년 CNBC 인터뷰)

또한, 버핏은 2023년까지 약 515억 달러를 기부하며 자선사업가로서의 면모도 보여주었습니다. 

 

 

 

1. 버핏의 투자 철학: 본질에 집중하는 투자

생산성 중심 투자

  • 자산의 미래 생산 능력을 중점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 부동산(농장, 상가) 투자 사례를 통해 설명됨. 매일 가격을 확인하지 않더라도 수익이 꾸준히 발생하는 구조가 중요하다.
  • "가격은 당신이 지불하는 것이고, 가치는 당신이 얻는 것이다"라는 버핏의 말처럼, 가치 기반의 판단을 강조함.

장기적 관점

  • 단기적인 주가 등락에 신경 쓰지 말고, 기업의 내재 가치와 수익 창출 능력에 집중해야 한다.
  • 거시경제 예측은 정확하지 않으며, 예측이 아닌 분석이 중요하다.

복리의 힘

  • 버핏의 부는 대부분 50대 이후부터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복리 효과가 장기적으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체감할 수 있음.
  • 조기 시작과 꾸준한 투자, 그리고 장기 보유가 핵심.

2. 투자 자산의 세 가지 유형

버핏은 자산을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나쁜 투자(Bad investment)

  • 화폐 기반 자산(현금, 예금, 채권 등)
  • 인플레이션에 의해 실질 구매력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음

이상한 투자(Unsure investment)

  • 금, 원자재 등 실체는 있지만 생산성이 없는 자산
  • 보유만으로 이익을 만들지 않음

좋은 투자(Productive asset)

  • 기업(주식), 농장, 부동산 등 수익을 창출하는 자산
  • 시간이 지날수록 부가가치와 현금흐름을 만들어냄

3. 집중 투자와 가치 판단

집중 투자 원칙

  • "최고의 기회에는 강하게 베팅하라"
  • 예: 애플에 전체 포트폴리오의 40% 이상을 투자함
  • 버핏은 "내가 잘 아는 분야에, 이해 가능한 기업에만 투자한다"고 말함

기업 선택 기준

  • 버핏은 4가지를 중요하게 여김:
    1. 사업의 단순성과 예측 가능성
    2. 지속 가능한 경쟁우위
    3. 유능한 경영진
    4. 합리적인 가격

변화된 가치투자 방식

  • 초기에는 '저평가된 주식'을 찾는 그레이엄식 투자(담배꽁초 이론)를 따름
  • 이후 찰리 멍거의 영향으로 '좋은 기업에 적정 가격에 투자'하는 전략으로 진화
  • 예: 씨즈캔디, 애플 투자 사례

4. 버핏의 인생 철학: 돈보다 중요한 것

자기 자신에 대한 투자

  • 최고의 투자처는 자신이다. 독서, 배움, 습관 개선 등에 끊임없이 투자할 것

올바른 인간관계

  • "당신이 가장 사랑받고 싶은 사람에게 사랑받는 것이 진정한 성공이다"
  • 친구는 자신보다 더 나은 사람과 사귀어야 하며, 인격을 닮아간다

검소함과 절제

  • 거대한 부를 가지고 있음에도 아직도 오래된 집과 단순한 생활을 고수
  • 소비보다 가치 있는 삶에 집중

시간의 가치

  • "돈을 잃는 것은 회복 가능하지만, 평판을 잃는 것은 회복할 수 없다"
  • 한정된 자원인 시간과 평판의 중요성을 강조

5. 버핏에 대한 오해와 실제

항상 장기 보유?

  • 일반적으로는 장기 보유를 지향하지만, 필요에 따라 단기 매도도 한다
  • 예: 2022년 TSMC를 매입했다가 반년도 안 돼 모두 매도함

절대 기술주에 투자하지 않는다?

  • 과거에는 기술주를 피했지만, 기술의 본질과 수익구조를 이해하게 되면서 애플, 아마존 등에 투자

거시경제 무시?

  • 예측에는 의존하지 않지만, 경제 상황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는 필요로 함

6. 워런 버핏의 기부와 책임의 철학

기부의 삶

  • 버핏은 자신의 재산 대부분을 자선단체(빌 앤 멀린다 게이츠 재단 등)에 기부함
  • "부자는 사회에 책임이 있다"는 철학 실천

후계 구상

  • 명확하게 세운 지배 구조와 후계 계획
  • 자식에게는 거대한 재산을 물려주지 않음

- 버핏의 삶은 단지 '투자의 신화'가 아니라 ‘인간적인 성장의 모델’임

- 누구나 버핏처럼 되긴 어렵지만, 버핏의 사고방식과 철학을 일상에 적용할 수 있음

- 돈을 넘어, ‘좋은 투자자’는 결국 ‘좋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