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재무관리/자산관리

국내상장 인도, 인도네시아 ETF

Ageless spirit 2025. 5. 30. 08:55

 

국내 상장 인도 ETF

국내 증권사에서 직접 거래할 수 있는 인도 ETF는 주로 인도의 대표 주가지수인 Nifty50을 추종하는 상품들입니다.

1. TIGER 인도니프티50 ETF

  • 운용사: 미래에셋자산운용
  • 추종지수: Nifty50
  • 총보수: 약 0.49%
  • 특징: 인도 대형주 중심의 포트폴리오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기 성장성이 기대됩니다.

2. KODEX 인도Nifty50 ETF

  • 운용사: 삼성자산운용
  • 추종지수: Nifty50
  • 총보수: 약 0.49%
  • 특징: 안정적인 운용성과를 보이며, 국내 투자자들에게 인기 있는 상품입니다.

3. KOSEF 인도Nifty50(합성) ETF

  • 운용사: 키움투자자산운용
  • 추종지수: Nifty50
  • 총보수: 약 0.49%
  • 특징: 합성 ETF로, 파생상품을 통해 지수를 추종합니다.

이들 ETF는 모두 ISA 계좌에서 투자 가능하며,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인도의 경제 성장과 함께 장기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국내 상장 인도네시아 ETF

현재 국내 증시에 직접 상장된 인도네시아 단독 ETF는 찾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동남아시아 또는 아시아 신흥국에 투자하는 ETF를 통해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1. TIGER MSCI Emerging Asia ETF

  • 운용사: 미래에셋자산운용
  • 추종지수: MSCI Emerging Asia Index
  • 총보수: 약 0.50%
  • 특징: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아시아 신흥국에 분산 투자하며, 지역별 리스크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

2. KODEX MSCI Emerging Asia ETF

  • 운용사: 삼성자산운용
  • 추종지수: MSCI Emerging Asia Index
  • 총보수: 약 0.50%
  • 특징: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아시아 신흥국에 투자하며, 장기적인 성장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ETF를 통해 인도네시아 시장에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으며, ISA 계좌를 활용하여 세제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투자 시 고려사항

  • 세제혜택: ISA 계좌를 활용하면 일정 한도 내에서 이자·배당·매매차익에 대해 비과세 또는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환율 리스크: 해외 자산에 투자하는 ETF는 환율 변동에 따른 수익률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투자 기간: ISA 계좌의 세제혜택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장기 투자가 유리합니다.

 

 

1. 일반 ETF (실물형 ETF)

정의

  • ETF가 추종하는 지수의 구성 종목을 실제로 매수하여 보유하고, 지수와 유사한 수익률을 냅니다.

예시

  • KODEX 200, TIGER 인도니프티50 등

특징

  • 실물자산 보유: 실제 주식이나 채권을 보유하므로 자산의 투명성이 높습니다.
  • 리스크 낮음: 파생상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 리스크가 적습니다.
  • 배당수익 있음: 기초 자산에서 발생한 배당이 ETF 수익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2. 합성 ETF (Swap형 ETF)

정의

  • ETF가 실제 종목을 보유하지 않고, 투자은행(IB) 등과 총수익스와프(TRS, Total Return Swap) 계약을 통해 지수를 "간접적으로" 추종합니다.

예시

  • KOSEF 인도니프티50(합성) 등

특징

  • 실물 미보유: 실제로 인도 주식을 보유하지 않고, 외국 금융기관과의 계약을 통해 수익을 추구
  • 시장 접근성 높음: 투자 대상국이 투자에 제약이 있거나, 직접 매매가 어려운 경우(예: 중국, 인도)에 유리
  • 신용 리스크 존재: 계약 상대방(예: 외국계 투자은행)의 신용에 문제가 생기면 ETF 수익에 영향 가능
  • 세금 처리 주의: 일부 합성 ETF는 파생상품 소득으로 간주되어 과세 방식이 다를 수 있음

3. 일반 vs 합성 ETF 비교 요약

구분 일반 ETF 합성 ETF

지수 추종 방식 실제 자산을 보유 파생계약(Swap)으로 간접 추종
자산 투명성 높음 상대적으로 낮음
구조적 리스크 낮음 스왑 계약 상대방의 신용리스크 존재
배당 수익 반영 O 대체로 O, 구조에 따라 상이
해외시장 접근성 제한 있음 (예: 일부 신흥국 시장 접근 어려움) 용이함
예시 KODEX 200, TIGER 인도니프티50 KOSEF 인도니프티50(합성)

4.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까?

투자자 성향 추천 유형

안정성과 투명성을 중시 일반 ETF (실물형)
신흥국/특수시장에 간접 접근하고 싶을 때 합성 ETF
ISA 계좌에서 운용 일반/합성 모두 가능, 다만 세제 처리 구조 확인 필수

Tip 

  • ETF 설명서나 펀드 페이지에서 "합성" 혹은 "Swap"이라는 단어가 있으면 합성형입니다.
  • ETF 투자 전 운용사 공시자료를 꼭 참고하시고, 보수/위험등급/기초자산 구조를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