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I 활용 역량
- 프롬프트 작성 능력 (Prompt Engineering)
- AI에게 명확하고 효과적인 지시를 내리는 기술
-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질문 구성, 문장 구조 조정, 조건 설정 등의 역량 필요
- AI 결과 해석 및 검토 능력
- 생성된 결과를 맹신하지 않고, 그 품질을 평가하고 검증할 수 있는 능력
- 잘못된 정보, 편향된 내용, 문맥 오류 등을 판별할 수 있어야 함
2. 디지털 및 데이터 리터러시
- 기본적인 디지털 도구 사용 능력
- 클라우드 기반 협업툴, 문서 편집툴, 이미지 편집툴 등과 AI의 연계 활용 가능해야 함
- 데이터 이해 능력
- 데이터의 유형, 구조, 출처를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
- 특히 AI가 다루는 데이터의 신뢰성과 윤리성을 판단할 수 있어야 함
3. 비판적 사고 및 창의성
- 비판적 사고력
- AI의 결과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논리적 근거와 타당성을 점검하는 능력
- 특히 생성형 AI는 그럴듯한 허위 정보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함
- 창의적 활용 능력
- AI의 결과를 기반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나 콘텐츠를 확장하거나 변형할 수 있는 능력
- AI를 협업 도구로 보고 창조적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함
4.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 역량
- AI와 사람 간 협업 조율 능력
- AI가 어떤 부분을 담당하고, 사람이 어느 지점을 보완할지 판단하고 조율하는 능력
- AI를 활용한 소통 능력
- AI를 활용해 문서 작성, 발표 자료 준비, 고객 응대 등의 커뮤니케이션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함
5. 윤리 및 책임 의식
- AI 활용에 따른 책임감
- 생성된 콘텐츠의 책임 주체는 사용자임을 인식하고, 오용되지 않도록 주의할 수 있는 태도
- 정보 윤리 및 개인정보 보호 인식
- AI에 입력되는 정보의 민감성, 법적 책임 등에 대한 인식을 갖추고 있어야 함
6. 학습 및 변화 대응 능력
- 신기술 수용성
-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에 대한 관심과 유연한 수용 태도 필요
- 자기 주도 학습력
- 새로운 도구나 기능을 스스로 학습하고 응용하는 능력 중요
'소소한 궁금증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롬프트(prompt) (9) | 2025.05.16 |
---|---|
AI 강의 1 : ChatGPT 시대, 우리는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1) | 2025.05.08 |
멀티모달 AI(Multimodal AI) (1) | 2025.05.02 |
미드저니 (Midjourney) 프롬프트 (1) | 2025.04.30 |
AI가 할 수 있는 일 / Six Patterns of Generative AI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