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재무관리

은퇴 후 재취업을 위한 준비

Ageless spirit 2025. 3. 11. 11:24

1. 60년대생의 특징

  • 경제적 성장과 격차: 60년대생은 성장기의 1인당 GDP가 79달러였지만, 은퇴 시점에는 3만 달러 이상이 될 것이다. 이는 후진국에서 선진국으로의 경제 변화를 겪은 세대라는 특성이 있다.
  • 세대 간 경쟁: 60년대생은 50대, 70대와 함께 경쟁해왔고, 대기업 임원이나 정치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고 한다.
  • 양극화 문제: 60년대생 내에서도 부유한 세대와 은퇴 후 불안정한 세대가 크게 나뉜다.

2. 세대의 경제적 고민

60년대생은 부모 부양자녀 부양 두 가지 책임을 동시에 떠안고 있다. 부모 부양을 위한 자금 준비뿐만 아니라, 자녀에게서 부양받지 못하는 현실도 큰 문제이다. 성인 자녀 리스크가 증가하면서 자녀의 취업 불안정, 결혼 문제 등으로 은퇴 자금이 빠르게 줄어드는 경우가 많다.

3. 일하는 기간의 연장

  • 60대 이상의 취업 증가: 60대 이상의 취업자가 늘어나고 있는데, 60세에서 64세 사이의 취업률은 65%에 가까운 수준이다. 그런데 그 대부분은 정규직보다는 비정규직으로 일하게 된다.
  • 재취업의 현실: 60대 이후에도 경제 활동을 계속하는 비율이 높지만, 대체로 비정규직 직장에서 일하게 된다.

4. 재취업을 위한 준비

  • 전문성 유지: 60대 이후에 재취업을 고려할 때 중요한 것은 자기 전문성 유지나 새롭게 전문성을 쌓는 것이다. 예전처럼 대기업 직장 수준의 일자리는 기대하지 말고, 눈높이를 낮추는 것도 필요하다.
  • 정보망과 관계망: 재취업 시장은 예측이 어려우므로, 네트워크를 잘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보망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것이 유리하다.
  • 자격증을 통한 전문성 확보: 기술직이나 관리직에서 일하던 사람들은 자격증을 취득해서 새로운 직업을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전관리사주택관리사 같은 자격증이 유용할 수 있다.

5. 국민연금과 연금 개혁

  • 국민연금의 중요성: 김경록 박사는 국민연금공적 연금 중 가장 퀄리티가 높은 연금으로 강조한다. 물가 상승에 맞춰 증액되고, 국가가 보장하는 종신연금이라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중요한 자원이다.
  • 연금 개혁: 하지만 연금 개혁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어 연금액이 예상보다 적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고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6. 은퇴 후 경제 활동

  • 기술직과 자격증: 60대 이후에 자격증을 통해 새로운 직업을 찾거나 창업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안전기술사드론 자격증이 유망한 자격증으로 언급된다.
  • 취미 활동과 경제적 목적: 은퇴 후에는 취미사회적 활동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림 그리기 같은 활동은 경제적 목적뿐만 아니라 건강과 규칙적인 생활에도 좋다.

7. 은퇴 준비의 중요성

  • 충분한 준비 시간: 재취업 시장에 나갈 준비를 미리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6개월 이상을 두고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고, 탐색과 고민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방향을 찾아야 한다.

은퇴 후에도 꾸준히 준비하고 적응하는 것이 중요하고, 경제적 안정을 위해 미리 준비하고, 비경제적 목적도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