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용어 설명
용어 정의
필요조건 | 어떤 명제가 참이기 위해 꼭 갖춰야 하는 조건.→ "이게 없으면 성립할 수 없다." |
충분조건 | 어떤 명제를 보장하는 조건.→ "이것만 있으면 성립할 수 있다." |
2. 수식 표현
어떤 명제 A, B에 대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을 수 있어요.
관계 기호 의미
A이면 B이다 | A ⇒ B | A가 충분조건, B는 필요조건 |
B이기 위해서는 A여야 한다 | B ⇐ A | A가 충분조건, B는 필요조건 |
A ⇔ B | A는 B의 필요충분조건 | 서로가 서로에게 충분하고 필요함 |
3. 실제 예시
예시 1: 짝수
명제 A: 어떤 수가 4의 배수이다.
명제 B: 그 수는 짝수이다.
→ A ⇒ B (4의 배수이면 짝수이다)
- 이 경우 A는 B의 충분조건 (4의 배수면 반드시 짝수다)
- 하지만 B는 A의 필요조건 (짝수여야만 4의 배수 가능성 있음)
요약:
- 4의 배수 ⟹ 짝수 (충분조건)
- 짝수 ⟹ 4의 배수는 항상 참은 아님 (예: 6은 짝수지만 4의 배수 아님)
예시 2: 정사각형과 직사각형
A: 도형이 정사각형이다
B: 도형이 직사각형이다
- A ⇒ B (정사각형이면 직사각형이다) → A는 B의 충분조건
- B ⇒ A는 거짓 (직사각형이 모두 정사각형인 건 아님)
요약:
- 정사각형이면 직사각형 (충분조건)
- 직사각형이어야 정사각형이 될 수 있음 (필요조건)
예시 3: 필요충분조건 예
A: x는 2의 배수이다
B: x는 짝수이다
- A ⇔ B (같은 의미)
→ A와 B는 서로의 필요충분조건
4. 시각적으로 이해 (간단한 요약)
- 필요조건: 목표에 이르기 위한 최소 조건
- "없으면 안 된다" - 충분조건: 그것만 있어도 목표가 자동으로 성립
- "이것만으로도 충분하다" - 필요충분조건: "그것뿐만 아니라, 그것만 있으면 충분하다"
- 완벽하게 일치함
추가 예 (실생활 버전)
조건 A 조건 B 관계
비행기를 탄다 | 공항에 있다 | A는 B의 충분조건, B는 A의 필요조건 |
술에 취한다 | 술을 마신다 | 술을 마시면 취할 수 있음 (충분조건), 취하려면 술이 필요함 (필요조건) |
'소소한 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널드 트럼프의 "거래의 기술(The Art of the Deal)" (2) | 2025.04.08 |
---|---|
윤석열 대통령 파면…헌법재판소 선고요지 (1) | 2025.04.07 |
카카오톡 단톡방 방장의 역할과 기능, 만드는 법 및 관리법 (0) | 2025.04.03 |
해시태그(#)란? (14) | 2025.04.01 |
감기에 걸리면 나오는 누런 코의 정체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