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궁금증

Survivor Prejudice, 생존자 편향(Survivorship Bias)

Ageless spirit 2025. 4. 14. 12:58

Survivor Prejudice는 생존자 편향(Survivorship Bias)과 사실상 같은 의미의 표현으로, 특정한 관점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의 의견이나 특성을 과대평가하거나, 그것만을 근거로 일반화하는 편향"을 말한다. 영어에서는 "Survivor Prejudice"보다 "Survivorship Bias"가 더 널리 사용되는 공식 용어이다.


1. 정의

  1. Survivor Prejudice = 생존자 편향의 확장적 표현
    • 성공한 사람들, 살아남은 집단, 견뎌낸 사람들의 특성만 보고 판단하여
      실패하거나 탈락한 사람들의 목소리나 현실은 무시하는 편향
  2. 편견(prejudice)의 요소 강조
    • ‘bias’가 통계적·인지적 오류에 가깝다면
      ‘prejudice’는 감정적·사회적 편견이나 차별의 의미가 강함
    • 즉, 실패한 사람들을 무능하거나 열정이 없어서 그랬다고 보는 잘못된 시선이 포함됨

2. 특징

눈에 보이는 일부 사례에 근거하여 일반화함
생존한 사람들의 의견이 보편적인 진실처럼 왜곡됨
실패한 사람들에 대한 낙인(stigma)과 책임 전가로 이어질 수 있음


3. 예시

① "나도 해냈으니 너도 할 수 있어"

  • 이 말은 자신이 살아남은 사례를 일반화한 것임
  • 실제로는 환경, 운, 지원, 타이밍 등 다양한 요인이 존재할 수 있음
  • 이 말 속에는 “못 한 사람은 노력을 덜 했기 때문”이라는 무의식적 비난이 담기기도 함

② "이 정도 힘든 건 누구나 겪는 거야"

  • 힘든 과정을 버틴 사람들은 살아남았지만
  •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탈락하거나 사라짐
  • 이런 발언은 심리적 고통이나 시스템적 문제를 무시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음

4. 시사점

  1. 성공담만 듣고 전략을 짜지 말 것
  2. 보이지 않는 실패와 탈락의 이야기도 소중히 여겨야 함
  3. “살아남은 사람들만이 말할 자격이 있다”는 사고는 위험함
  4. 사회적 약자나 실패자를 배제하는 문화로 이어질 수 있음

 

5. 대표 사례

  1. 생존자 편향(Survivorship Bias)
    • 실패하거나 사라진 사례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성공한 사례만을 근거로 판단하여 오류에 빠지는 현상을 말한다.
  2. 대표적 오류의 예시
    • “성공한 기업가들이 대학을 중퇴했다 → 나도 대학을 중퇴하면 성공할 수 있다”
    • “전쟁에서 돌아온 전투기의 총알 자국이 적은 부분은 강화하지 않아도 된다”

① 제2차 세계대전 ‘폭격기 사례’

  • 미군은 전투에서 돌아온 폭격기의 총알 자국을 분석해, 집중적으로 맞은 부분을 보강하려 함.
  • 하지만 통계학자 **에이브러햄 월드(A. Wald)**는 돌아오지 못한 비행기들이 총알을 맞은 부위야말로 치명적이었을 가능성이 크므로, 총알 자국이 없는 부위를 보강해야 한다고 주장함.
  • 즉, ‘살아 돌아온’ 데이터만을 보고 판단하는 오류를 바로잡은 대표적인 사례임.

② 투자나 경영에서의 사례

  1. 펀드 수익률
    • 성공한 펀드만 계속 살아남고, 실적 부진한 펀드는 퇴출됨
    • 따라서 시장에 남아있는 펀드 평균 수익률은 실제보다 과장된 성과를 보여줄 수 있음
  2. 스타트업 성공 신화
    • 성공한 창업가의 이야기만 부각됨
    • 수많은 실패 사례는 사라져 보이지 않음
    • 실제로는 대부분 실패한다는 점을 간과함

6. 특징과 원인

눈에 보이는 정보만을 신뢰
실패 사례는 기록되거나 전달되지 않음
성과 중심 사고가 일반화되면서 발생
인간의 낙관적 사고 경향과도 연결됨


7. 생존자 편향을 피하는 방법

  1. 실패한 사례까지 포괄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2. 보이지 않는 데이터의 존재를 항상 의식해야 한다
  3. 전제 조건이나 맥락에 주목해야 한다 (왜 성공했는가 뿐 아니라 왜 실패했는가)
  4. 통계나 성과 자료를 볼 때 탈락 사례나 중단 사례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