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OTP 밸류에이션이란?
1) 정의
SOTP (Sum of the Parts) Valuation,
즉 "각 부문(사업)의 가치를 개별적으로 평가해 합산하는 방식"의 기업가치 평가법이다.
2) 핵심 개념
- 전체 기업을 하나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각 사업 부문 또는 자회사 별로 분리하여 가치를 산정한 뒤 총합으로 기업 가치를 계산한다. - 기업이 복수의 독립된 수익 모델을 가지고 있을 때 유리한 방식
2. 왜 SOTP를 사용하는가?
일반 밸류에이션 SOTP 밸류에이션
전체를 통합해서 하나의 가치로 평가 | 사업별로 나눠서 각각 평가 후 합산 |
PER, EV/EBITDA 등 통합 수치 활용 | 부문별 PER, 사업특성 반영 |
→ SOTP는 복잡한 기업 구조에 맞춘 "정밀 밸류에이션 도구"라고 할 수 있다.
3. SOTP 적용 예시
예: A기업은 아래와 같은 3가지 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사업부 가치 평가 방식 추정 가치 (단위: 억 원)
제조 부문 | EV/EBITDA × 5배 | 5,000억 원 |
금융 자회사 | PBR 1.2배 | 3,000억 원 |
보유 부동산 | 시장가치 평가 | 2,000억 원 |
순현금 보유액 | 500억 원 |
총 SOTP 가치 = 5,000 + 3,000 + 2,000 + 500 = 10,500억 원
4. SOTP가 필요한 상황
- 지주회사 구조: 자회사별 상장 여부, 수익구조가 다른 경우
- 사업 포트폴리오가 다양한 대기업
- M&A 분석 시
- 매각, 분할, 인수 가치 산정 시
5. 장점과 단점
장점
- 기업 구조가 복잡할수록 정확도 높은 가치 평가 가능
- 각 부문의 시장 가치 반영 가능
- 자산 가치 + 수익 가치 통합적 평가
단점
- 각 사업부 가치 산정이 과정이 복잡하고 주관적일 수 있음
- 비상장 자회사나 자료 부족 시 평가 어렵다
- 시장에서 할인율(holding discount)을 적용받을 수 있음
6. Summary
“SOTP 밸류에이션은 복합 기업의 가치를 쪼개서 보는 해부도이다.
각 부문의 잠재 가치를 합산해 진짜 기업 가치를 드러낸다.”
'소소한 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억압(financial repression) (10) | 2025.04.19 |
---|---|
연준 풋(Fed Put) (6) | 2025.04.17 |
보상(補償)”과 “배상(賠償) (0) | 2025.04.16 |
달러 인덱스(Dollar Index) (0) | 2025.04.16 |
개와 늑대의 시간(犬と狼の時間, L’heure entre chien et loup) (4)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