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은 가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설계된 암호화폐입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일반 암호화폐는 가격 변동성이 매우 크지만, 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예: 미국 달러)나 실물자산(예: 금)에 연동되어 있어 가치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입니다.
1. 왜 스테이블코인이 필요한가요?
- 암호화폐의 높은 변동성 보완
- 예: 비트코인은 하루에도 수십 % 오르내릴 수 있음
- 거래 안정성 확보
- 빠르고 안정적인 결제 및 송금 수단 필요
- 디지털 달러 역할
- 글로벌 송금, 탈중앙화 금융(DeFi) 등에 활용
2. 스테이블코인의 주요 유형
유형 설명 대표 예시
법정화폐 담보형 (Fiat-collateralized) | 실제 달러 등 법정화폐를 은행에 예치하고, 그만큼 발행 | USDT (Tether), USDC (Circle), BUSD (Binance) |
암호화폐 담보형 (Crypto-collateralized) | 암호화폐를 초과 담보로 예치하고 발행 | DAI (MakerDAO) |
무담보 알고리즘형 (Algorithmic) | 수요·공급 조절 알고리즘으로 가격 유지 | FRAX, (과거 Terra/LUNA 등) |
3.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 비교
이름 담보 자산 발행 주체 특징
USDT (Tether) | 달러 (USD) | Tether Ltd. | 가장 많이 사용됨, 투명성 논란 있음 |
USDC | 달러 (USD) | Circle + Coinbase | 회계 투명성 높음 |
DAI | 암호화폐 (ETH 등) | 탈중앙화 조직 (MakerDAO) | 온체인, 분산형 |
FRAX | 부분 담보 + 알고리즘 | Frax Finance | 하이브리드 구조 |
4. 장점과 단점
장점
- 가치 안정성 → 결제/송금/거래 시 유리
- 블록체인 기반 → 빠르고 저렴한 글로벌 송금 가능
- 디파이(DeFi)에서 담보자산으로 광범위하게 활용
단점
- 법정화폐 담보형은 중앙화 리스크 (발행사 신뢰 문제)
- 알고리즘형은 극단적 상황에 붕괴 가능성 (예: Terra/LUNA 사태)
- 규제 불확실성 → 각국 정부의 규제 강화 추세
5. 현재 활용 사례
- 거래소 내 안전자산 역할 (변동성 회피)
- 디파이 대출/스왑/파생상품 담보
- 국경 간 송금 및 결제 수단
-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개발에도 개념 차용
6. 스테이블코인의 미래와 규제
- G7, G20, 미국 재무부 등 주요국은 스테이블코인을 화폐로 간주할지, 증권으로 간주할지 검토 중
- **국가 발행 디지털화폐(CBDC)**와의 관계도 주목
- 신뢰성과 투명성 확보가 가장 큰 과제
'소소한 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TACO (Trump Always Chickens Out) Trade (1) | 2025.05.28 |
---|---|
참치 부위별 이름 (0) | 2025.05.27 |
스탠딩 오더(Standing Order) (0) | 2025.05.14 |
바이탈사인(Vital signs, 생체징후) (0) | 2025.05.13 |
수렴진화(Convergent Evolution) (0) | 2025.05.13 |